과학해설사 과학해설사 전시연구성과서비스 전시연구성과서비스 전시교류서비스 전시교류서비스
회원기관 소식

2025년 전시관 연계 단체 체험 프로그램 추가 운영 안내(9. 23.~12. 19.)(국립과천과학관)

2025-08-21

33

단체 대상 전시관 연계 체험프로그램 추가 운영 안내

2025년 전시관 연계 단체 체험 프로그램

  • 운영 안내

운영 시기: 9.23(화)∼12.19(금) 주중(화, 수, 목, 금)

※ 과학관 휴관일(월요일), 공휴일, 대체휴관일 및 주말(토, 일)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2025년도 국립과천과학관 휴관 일정 안내 참고)

체험 인원: 20명 이상 단체 대상, 콘텐츠 별 최소 16명 이상 ~ 30명 이내(1팀 당 1명의 인솔자 동행 필수), 팀당 최대 110명

체험 시간: (1회차) 10:30~11:30, (2회차) 13:30~14:30 / 60분 내외 소요

체험 수준: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중학교 3학년 이내 및 동일 연령대 권장

체험 구성: 전시연계 과학체험콘텐츠  8종 / 회차 별 최대 4종 선택 가능

체험 장소: 각 전시관 내 교실(4개소)

참여 비용: 체험인원당 3,000원, 당일 현장결제(※ 상설전시관 입장료 및 주차비 별도, 단체관람 안내 참고)

 

  • 예약 안내

추가접수 전체 규모: 1,000명

접수 방법: 네이버 설문조사(https://naver.me/GA86Cef6)

※ 상세한 조사를 위하여 부득이 네이버 설문조사로 진행합니다(로그인 필수)

접수 사항: 단체 담당자 개인정보(성명, 연락처(휴대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소속 기관 정보(참여기관 명칭, 연락처), 희망 참여일, 총 인원, 프로그램 별 참여 인원 등

접수 기간: 2025. 8. 14.(목)~프로그램 개시 3주 전까지

선정 방법: 접수 순으로 검토 후 최종 확정(확정 예약 대상 7일 내 개별통보)

문의 : 운영사무국(070-7830-6520)
 

  • 참고사항

안내 사항은 기관 운영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예약 변경 또는 취소는 콘텐츠 개시일 기준 3주일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현장 예약 및 대기 예약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

신청 시간 10분 전까지 각 전시관 입구로 오셔야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합니다.

체험은 사전에 선택된 콘텐츠가 동시에 시작되며, 동일한 콘텐츠는 중복해서 운영되지 않습니다.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반드시 시간 엄수 바랍니다.

 

  • 콘텐츠 구성

 

프로그램 명칭

정원

연계전시관

체험물

세부 내용

관련 사진

숨은 편광 찾기

20

과학탐구관

사랑의 편광봉

빛의 파동으로 설명하는 편광판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편광필름을 활용한 편광탐색기를 만들어본다

7236.png

스캐니메이션

20

과학탐구관

양자냥이 저금통

스캐니메이션의 개념과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잔상효과를 일으키는 양자냥이 저금통을 만든다

7598.png

진화 그리고 핀치새

30

자연사관

핀치새 부리 모양자

핀치새가 다양한 부리를 갖게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다양한 핀치새 부리를 골판지로 직접 만들어본다

7238.png

모두의 은하

30

천문우주관

전파망원경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은하의 형태분류를 알아보고, 애니메이션 효과를 활용한 은하의 진화 카드를 만들어본다

7595.png

우리 위성, 세계를 보다

30

첨단기술관

천리안 위성 모형
조립 체험물

인공위성의 다양한 역할과 우리나라 인공위성 기술 개발력을 알아보고 인공위성 모형을 조립해본다

7239.png

섬유, 과학을 입다

30

첨단기술관

우산을 들고 있는 캐릭터 키링

고분자 화합물로 만든 섬유의 특징을 알아보고
방수 재질을 활용한 캐릭터 키링을 꾸며본다

7240.png

종이접기만 잘해도 NASA에 갈 수 있다?!

30

첨단기술관

미우라 모자이크 폴드 도안 접기 창작물

종이접기 속 다양한 공학적 요소와 적용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태양전지판의 축소 도안을 직접 만들어보며 활용성을 탐구한다

7596.png

읽으면 보일 지도

25

한국과학문명관

지리정보활용 도시계획체험물

대동여지도에서 활용된 공간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이해하고
새로운 도시를 계획해보기

7246.png